서평

오리지널스-애덤 그랜트

hhhtae 2020. 1. 15. 23:28

어떤 현상에 대한 미시감의 발현이 독창성으로 이어진다.(이때 현상을 접하는 사람은 현상에대한 불만족이나 어떠한 형태의 의문을 가지고 있어야한다)독창성의 필요조건이 미시감의 발현이라하면 독창성을 위한 미시감의 향상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그렇다면 미시감을 향상시킬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미시감은 무엇인가
"늘 봐온 익숙한 것이지만,그것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봄으로써 기존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함"
[오리지널스]

기시감(旣視感)과 대조적인 체험으로 과거에 보거나 경험한 경우나 상태에 당면했을 때에 전혀 미지로 첫 경험으로 느끼게 하는 체험을 말한다. 특수한 기억착오의 일종으로 간질의 몽환상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네이버 지식백과] 미시감 [未視感, jamais vu]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간단하게, 평소 내가 가지고 있던 관점과 다른 관점으로 현상(대상)을 바라보고 해석하고 다른 결론에 도달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여기서드는 의문점은
1.각기 다른 관점이 같은 대상(현상)에 전부 다른 해석이 나와야 하는 것인가. 보는 관점이 달라도 해석이 같을 수 있는가.
-대상의 본질은 하나라고 볼 수 있다.각기다른 관점으로 바라봐도 관점들이 인식하는 범주에 같은 본질이 포함되어있다.완벽히 같지는 않지만 어느정도 포함 돼 있다.

-미시감의 향상
관점이란 이성의 영역 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다양한 관점을 갖기 위해선 이성의 영역에 대한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그럼 어떻게 내 이성에대해서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을까?애초에 한사람의 이성이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을까?내 생각은 이렇다
1.이성은 큰줄기로서 깊이같은 정도는 가지고 있지만 다양성은없다.
2.대상을 바라볼때 그대상을 판별하는 기준이 관점이 된다.
3.우리가 판별하는 행위를 할때는 이성을 사용한다.
4.우리의 이성은 개인이 가지고있는 관점을 통과하여 대상을 바라보고 대상에대해서 판별한다.
5.관점이 다르면 대상에대한 판별이 다르다(어느 정도 같을수도있다)
-이건 마치 대상을 찍는 사진기에따라 대상의 다른부분이 보이듯 (x-ray,투시 등등)대상에대해 내가 처음에 가지고 있던 판단과 다른 판단에 도달할 수 도 있다.
6.결국 다양한 관점이 미시감을 향상시킨다.

-다양한 관점을 가질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1.다양한경험과 독서
-한인간이 어떤 대상에 대해서 바라보는 관점은 그사람의 가치관에의해 관점의 형태가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가치관은 그사람의 인생에 쌓여온 경험으로 발현된다.그렇다면 한인간은 살면서 한 가치관을 가지고 살아갈 수 밖에없다.(자기자신의 가치관 한사람은 하나의 자아를 소유 가치관은 변하기도한다)한사람은 독서를 통해 타인의 가치관에 대해서 알 수 있다.우리는 경험을 통해 배울수 있다.경험과 독서로 우리의 관점을 다양화 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상에대해서 얼마나 깊게 사고할 수 있는냐는 다양한 관점으로 대상을 분석한 사람일 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