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꿈의 해석-프로이트
    카테고리 없음 2020. 10. 23. 18:03

    칼 융을 읽다보면  그의 삶에서 프로이트가 굉장히 중요한 인물로 나온다.

    그리고 심리학에 관심이 있다면 프로이트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고 심리학 뿐만 아니라 철학사 에서도 중요한 인물로 뽑힌다.

    그이유는  최초로 꿈과 무의식에대해서 학문적으로 유의미한 접근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유명하지만 나는 프로이트에 대해서 많이 궁금하진 않았다. 그는 인간의 무의식과 꿈에 대해서 모든것을 성적인 것으로 설명하려하고 거기다가 유아기때 항문으로 성욕을 느낀다는 유아 성욕론이며 오이디콤플렉스에 대해서 집착하는 점…등 이런 주장은 깊이 공부해볼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칼융을 접하면서 프로이트가 계속 언급되는점과 철학이나 심리학에서 굉장히 중요하고 지금까지 관련분야에서 언급되는걸 고려하여 그가 자신의 저서중 가장 중요하고 핵심적인 저서라고 주장한 “꿈의 해석”을 읽어 보게됐다.

     

     

    결론적으로 책을 다 읽고 난 후 그가 꿈의 해석을 대부분 성욕에 관련하여 풀이한 점에대해서 이해하게 되었다.

    여기서 우리가 오해 할 수 도 있는 점은 프로이트는 단순히 성욕보다 ‘억압된 욕망’과 ‘소망충족’에 대한 부분에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다.

    성욕 메커니즘은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파생된 현상일 뿐이다.

     

     

    p.156

    우리들은 꿈은 소망의 충족을 나타낸다고 했는데, 이것은 꿈의 일반적인 성질일까, 그렇지 않으면 우리들이 분석하기 시작한 꿈의 우연한 내용일까? 어떤 꿈에나 의미가 있고 심적 가치가 있다면, 우리들은 그 꿈에 따라 뜻이 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우리들의 첫째 꿈은 분명 소망 충족이 있다고 하자. 저녁 식사 때 정어리나 올리브 등 짠 음식을 먹으면 밤중에 목이 말라서 잠이 깬다. 그러나 눈을 뜨기 전에 꿈을 꾸는데, 이 꿈은 언제나 물을 마시는 내용이다. 벌컥벌컥 물을 들이켰는데, 그 맛이란 형언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러다가 눈을 뜨면 이번에는 실제로 물을 마시지 않을 없다. 단순한 꿈의 유인은 눈을 떴을 때도 여전히 느껴지는 갈증이다. 갈증이라는 감각에서 물을 먹고 싶은 소망이 생기고, 꿈이 소망을 충족시켜 주는 것이다. 그럴 꿈은 어떤 기능에 기여하는데, 나는 기능을 깨닫는다.

     

    p.176

    그러나 소망 충족의 형태를 바꾸어서 그것을 인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그 소망에 대하여 방어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소망은 이 방어를 위해 스스로 왜곡된 모양으로밖에 표현할 수 없게 된 것이다.

     

    p.177

    검열의 지배가 엄격하면 할수록 위장은 그만큼 더 교묘해져서 그 수단은 점점 더 흥미로운 것이 되어 가는데, 그런데도 독자는 그 진정한 의미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검열의 여러 현상과 꿈 왜곡의 여러 현상 사이에서 볼 수 있는 극히 세밀한 부분에까지 이르는 일치는, 양자에 대해 비슷한 여러 조건을 전제하는 것을 우리들에게 허용한다.

     

    p.181

    베른하임의 최면술 실험에서는 최면 상태의 환자에게 어떤 명령을 내리면 환자는 깬 뒤에야 그 명령을 실행하는데, 그 동기를 물으면 환자는 왜 자기가 그 일을 하는지 모른다고 대답하지 않고, 그것에 어떤 이유를 단다. 이카비에르의 예도 이와비슷한 것이다. 그녀는 생활 속에서 부득이 어떤 충족되지 않는 소망을 만들어 내지 않을 수 없게 되어 있는 듯하다.

     

    p.197

    사람은 누구나 아무에게도 말하고 싶지 않은 소망이나, 자기 자신에게조차 있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을 갖는다. 또 한편, 우리들은 이 모든 꿈이 이렇게도 왜곡되어 꿈 속의 소망 충족을 알지 못하게 은폐하는 것은, 틀림없이 그 꿈의 내용이나 그 꿈 속에 알 수 있는 소망에 대한 억압 및 혐오 의도가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추측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따라서 꿈 왜곡은 사실상 검열 행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불쾌한 꿈의 분석이 밝혀내는 것은 모두 우리들이 앞에서 말한 꿈의 본질을 표현하는 공식에 다음과 같은 변경을 가할 때 충분히 고려되었던 것이다. 즉, “꿈은 어떤 억압되고 배척된 소망의(위장된)충족이다.”

     

     

    프로이트가 설명하는 꿈의 속성에 대해 요약하자면 꿈은 억압된 소망충족으로 표현되는데  여기서 억압된 소망이 2단계의 검열을 거쳐서 우리가 알 수 없도록 위장이 돼서 왜곡된 상태로 표현된다는 것이다.(2단계의 검열이 어떤 기재에 의해서 일어나는지 나는 정확히 이해하지 못했다)

     

    그렇다면 왜 위장의 작업을 거쳐서 왜곡된 상태로 표현하는가?

    프로이트는 그 이유를 인간이 사회적으로나 도덕적으로 또는 윤리적으로 감히 그런 생각을 하는것이 억압 되어 있기때문에 그것을 자기자신도 알아차리지 못하도록 무의식이 위장을 해서 왜곡된 형태로 표현한다고 한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꿈이 억압된 성욕의 표현으로 해석 되는 것이 이해가 되었다.

     

    극단적인 예를들어보자

    어떤 남성이있고 그는 일상적인 생활을 한다. 일상 생활중 만나는 많은 사람중  많은 여성이 있을 것이고 그는 그가 만나는 대부분의 여성들에게 무의식적으로 성욕을 느낄 것 이다.

    여기서 무의식적 이라는게 중요하다.

    위에 예를 듣고 대부분 사람들은 지나가다 ‘매력적인’ 여성에게 성욕을 느낄 순 있지만 대부분의 여성에게 성욕을 느끼진 않는다 라고 생각할 것이다.

    하지만 그건 어디까지 ‘매력적’이라는 것을 인지 할 수 있는 의식된 상태에서 드는 성욕이다.

    우리의 유전자나 본능이 번식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우리는 의식적으로 교양있고 도덕적이라 아무하고나 성관계를 가지는 욕망따위를 생각하지 않는다 라고 말하고 실재로 그렇게 살지만 우리의 무의식에 대해선 감히 그렇다고 말 할 수 있는 확실한 이유는 없다 무의식은 말 그대로 무의식이기 때문이다… 우리의 의식이 닿지 않는영역…

    그런 욕망은 우리가 의식하기도 전에 우리의 도덕적,윤리적 관념에 의하여 생각지도 못하게 된다.

    하지만 성욕이란건 우리가 가지는 욕망중 강력한 욕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강력한 욕망은 의식되기도 전에 억압된다…..

    이로써 억압된 욕망이라는 메커니즘이 완성된다.그리고 성욕이 가장 억압되기 쉬운 욕망이 된다는 점에 대해서도 설명이 된다.

     

    프로이트는 꿈이란 억압된 욕망의 표현이지  성욕의 표현이라고 주장하지는 않는다.

    단지 우리의 무의식적인 억압기재에 성욕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뿐 다른 식으로 무의식의 억압된 욕망이 생긴다면 그것이 무의식으로 부터 위장돼서 왜곡된 상태로 꿈에서 표현 될 것이다.

    하지만 왜 하필 도덕적인 관념이 우리의 무의식에서 작용하는지에 대해서는 좀더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다…왜 있는 그대로가아니라 검열을 거쳐서 꿈으로 표현되는지 그런 부분에 대해선 아직 이해하기 힘들다.

    하지만 이런 꿈의 메커니즘에 대해서 이해하고 나 자신의 꿈애 대해서 억압된 욕망이나 소망의 충족적인 면에서 해석을 시도해보니  연상기법으로 나조차도 잊고있어서 의식넘어의 무의식에 있던 욕망들을 찾을 수 있게 되었다.

     

     

     

    위에 언급한 내용 말고도 아주 흥미로운 내용들이 “꿈의 해석”에 많이 있다.

    꿈에 관심이 많다면 한번쯤 읽어 보길 추천한다.  위에서 언급한것은 일부분일 뿐이고 머리아픈 내용들이 많이 있다는 점 기억하길 바란다.

     

     

    모든 걸 성욕으로 설명하려는 프로이트 또는 모든것을 열등감으로 표현하려하는 아들러의 이론….

    하지만 하나의 이론으로 모든 걸 설명하기에 역부족이라는 생각이 든다.(왜냐면 분명 꿈에는 개꿈도 있으니깐ㅎ)

    하지만 프로이트나 아들러의 이론들도 분명 적용되는 부분이 있고 각자의 기재로 설명 가능한 꿈들이 있다.

    그리고 어떤 이유 때문에 꿈이 하나의 기능만을 가진다고 생각할 이유가 있을까?

    꿈은 억압된 욕망의 표현일 수 도,열등감의 표현일 수도, 혹은 칼융 처럼 종교적,영적인 상태의 표현일 수 도 있다.

    각각의 이론은 저마다의 기능이 있으니 다른 도구로써 접근한다는 관점을가지고 바라본다면 좀더 유연한 사고에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한다.

    항상 자신이 모든걸 알지 못한다는 겸손을 가지고 있다면 많은걸 받아 들이고 복합적인 사고를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꿈의 원인에 절대적인 이유는 없다ㅋ

     

     

     

     

     

     

Designed by Tistory.